골프를 배우는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듣는 말이 있다. 몸에 힘을 빼고 치라는 소리다. 힘을 빼야 더 정확히 멀리 골프 공을 칠 수 있다는 말이다. 야구의 타격이나 테니스도 마찬가지다. 그뿐이랴 수영을 할 때는 온 몸에 힘을 빼야 물에 뜰 수 있다. 사실 이 힘을 빼라는 소리는 모든 운동을 배울 때 초보자들이 항상 들어야 하는 소리다. 그리고 우리는 이 힘 빼기가 우리의 인생 모든 것에서도 중요한 기술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. 하지만 우리는 힘을 빼고 살아가는 것에 익숙하지 않다. 모든 응원에는 “힘 내라!”는 말만 있을 뿐 “힘 빼라!”는 말은 없다.
“힘들 때 힘을 빼면 힘이 생겨요.”
김하나 작가의 에세이 ‘힘 빼기의 기술’은 주사 바늘 앞에 초연한 엉덩이처럼 힘을 빼면 삶은 더 경쾌하고 유연해진다고 말한다. 따끔한 일침이 두려워 엉덩이에 힘을 주면 주사는 더 아프다는 사실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. 작가는 어릴 때 부모님이 늘 말씀하시던 “만다꼬?” (“뭘하려고?”,“뭐 한다고?”라는 의미의 경상도 사투리)가 아버지의 철학이 담긴 집안의 진짜 가훈이었던 것 같다는 말로 이야기를 시작한다
『“난 꼭 그 자리에 오르고 말 거야.” “만다꼬?”
“우리 회사를 세계 1위 회사로 만들 겁니다!” “만다꼬?”
우리 가족은 이 말을 정말 자주 사용해왔다. 나는 한동안 ‘만다꼬’가 싫었다. 내가 생활에 꼭 필요하지 않은 뭔가를 해보고 싶다고 말하면 부모님은 여지없이 “만다꼬?”라고 되물었다. (……) 그러나 나이가 더 들어서 독립을 하고 나니 ‘만다꼬’는 인생에 있어 중요한 질문이었다. 선택의 기로에서 또는 사는 게 힘에 부칠 때면 ‘만다꼬?’라고 스스로에게 물어볼 필요가 있었다. 왜 이것을 하는가? 무엇을 위해 이렇게 사는가? 나는 이것을 진정 원하나? 아니면 다들 그렇게 하니까 떠밀려서 하는 건가? 내 안에 내재된 ‘만다꼬?’에 대한 대답을 찾으면서 나는 내가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에 대해 짚어보게 되는 거였다. 그리고 나도 모르게 불필요한 부분에 쏟고 있던 힘을 거두어들일 수 있었다.』
이 힘 빼기의 기술은 채용 면접을 볼 때, 기분 나쁜 소리를 들었을 때, 중요한 발표를 할 때, 누군가가 미워질 때도 위력을 발휘한다. 미용실에서 머리 감겨주는 분에게 “힘 빼세요” 소리를 듣고 긴장해서 목이 더 뻣뻣해진다면 나와 머리 감겨주는 분 모두 매우 힘든 시간이 될 것이다. 힘 빼기의 유용성은 상대가 있을 때 더욱 커진다. 상대를 유연하고 편안하게 만들어 주고 서로 불필요한 힘을 쓰지 않게 하여 준다.
『요즘 나는 수영 초급반을 다니고 있다. 고급반 대선배님들(주로 할머니들이다)은 종종 ˝힘 빼기가 제일 힘들다˝고 말한다. 힘을 빼는 데에 가장 힘이 든다니, 인생에서 중요한 잠언들이 으레 그렇듯이 참으로 모순적이다. 뒤처질까 봐 온몸에 힘을 주면 줄수록 숨이 가지고 결국 가라앉아버리는 걸 여러 번 겪은 나로서는 공감도 되지만 여전히 힘 빼기는 어렵게만 느껴진다. 힘을 빼고 물에 나를 내맡긴 채 나아가는 것. 딛고 선 땅이 없어도 두려움을 이기고 나를 믿는 것. 수영의 도를 깨치면 인생에도 도가 틀 것만 같다.』
만일 지금 당신의 인생이 힘들다고 느껴진다면, 잠시 힘을 빼보시라. 다시 물 위로 몸이 떠오르고 숨이 쉬어질 것이다. 그럼 이제 다시 천천히 숫자를 세면서 물을 저어 앞으로 나아가면 된다.

염호준 컨설턴트 / yhj@nterway.com